기말고사도 끝나고 학기도 끝나고 방학이 왔는데
내 책상에는 기말 수행평가로 걷은 학생들 노트가 아직도 산더미다.
아까워서 돌려주지를 못하고 있다.
1학년들은 매 수업시간이 시작되면 한 사람씩 나와서 자신이 골라온 시를 낭송하고 감상을 발표하는 시간이 있다.
학생들은 발표자가 나누어준 시를 노트에 붙이고 남은 빈 칸에 자신의 감상을 적는다.
학기 말이 되면 학생들마다 서른 대여섯개의 시와 시 감상이 빼곡히 찬 노트가 걷힌다.
노트는 학생들이 붙인 시와 눌러쓴 감상글로 울룩불룩, 나달나달해져 있다.
학기 초에 이 수행평가를 설명하면서 언니들이 작년에 썼던 노트를 보여주면 아이들은 기가 질린다.
빼곡하게 노트를 채운 감상글을 자신들은 절대 못 쓰겠다며 도리질을 한다.
쓰면 다 읽어는 보냐고 물어보고, 내가 '난 니네 글 읽는게 그렇게 좋을 수가 없다'고 하면 반신반의한다.
그리고 점수를 잘 받겠다고 경쟁적으로 무슨 이야기든 써나가기 시작한다.
개중에는 열심히 쓰고 싶지 않아하는 아이들도 있다.
중간고사 끝나고 노트를 한번 걷는다.
정말 성실히 과제를 하느라 땀흘린 것이 보이는 학생도 있고
이 기회에 글 솜씨를 뽐내는 학생도 있고
스트레스 푸는 용도로 감상 공간을 활용하는 학생도 있고
잘 하고는 싶은데 잘 안 돼서 이 얘기 저 얘기 중구난방 쓰다가 그림을 그리는 학생도 있고
또 아예 시를 붙이는 일도 제대로 안 하는 학생도 있다.
선생 욕 부모 욕으로 가득한 글을 쓰는 학생도 있다.
솔직히 한줄한줄 모두 읽지는 못한다.
그렇지만 읽노라고 읽는다.
그리고,
어떤 학생이든 두세 문장으로 손수 글을 써서 피드백을 해 준다.
비난하지 않고. 쉽게 평가하지 않고.
중간고사 이후에는 글쓰는 분위기가 달라진다.
자기는 조금 써서 선생님이 글을 짧게 써준 것 같다며 쓰는 데 열을 내는 학생도 있다.
이런 얘길 쓰면 선생님이 나를 싫어할 거라 생각했는데 재밌게 읽었다고 하니 고맙다고 하는 학생도 있다.
틈틈이 쓰라는 얘기였는데, 자습시간에 일을 삼고 노트를 쓰는 학생도 있다.
기말고사에 노트를 걷으면 글의 질과 양이 달라진 걸 느낄 수 있다.
성의없게 썼던 학생들이 성의있게 쓰려고 노력하기도 한다.
염세주의로 가득한 글을 썼던 학생들은 더 신나서 세상을 비난하기도 한다.
이번엔 그림 안 그리려고 했는데 또 그림 그려서 미안하다고 하기도 한다.
지난 번에 썼던 피드백에 답장을 써놓은 학생들도 있다.
못 읽고 지나갔다가 학생이 상처받으면 어쩌나 싶은 고백을 써놓은 학생들도 있다.
내가 한 것은 단지 그 학생에게 두세줄의 글을 써 준 것밖에 없는데
아이들은 교사 혹은 어른의 이런 작은 성의에도 크게 반응해준다.
기말고사에는 그만큼의 답장을 해주지 못한다.
성적처리가 바빠서이다.
아이들에게 돌아가는 대답은 한두자리의 숫자다.
고맙고, 또 그만큼 더 미안하다.
그래서 돌려주지를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