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고3 문제집 풀기 수업의 실험 - 문제 만들기 놀이

두립언 2012. 5. 21. 12:39


방법 :

1. 4인 1조 구성

2. 문제를 제시하고 선지를 학생들이 작성해보도록 함.

문제는 가장 일반적인 스타일로 제시 : (가)~(다)의 공통점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 선지의 기본 유형을 정해줌. 

4. 문제와 해설을 함께 제작하도록 함.

5. 다 작성된 문제를 옆 조 친구들이 풀기 2회.

6. 문제의 별점을 매기도록 하여 별점이 높은 조에 상품을 줌.

7. 문제를 후에 걷어서 내가 다시 피드백 함. 


장점 :

언어영역 문제에 쓰이는 어휘들의 이해 정도가 높아짐.

-'문제'라는 언어를 지켜보기만 할 때보다, 스스로 사용할 때 그 언어에 대한 이해가 정확해진다.

교사가 앞에서 지문을 설명하고 문제를 풀어줄 때보다 수업 참여도가 월등히 높음.

- 딴짓하는 학생 없이, 다같이 머리 맞대고 열심히 의논하고 문제를 만들고, 친구들의 문제이므로 더 열심히 푼다.


단점 :

문제를 작성한다는 쉽지 않은 행동을 유발하기 위해 게임요소를 도입하고 있는데,

별점 매기기의 의미가 사실 모호함.

'무엇이 좋은 문제인가?' 그리고 '학생들이 해야 할 일이 별점 잘 받는 좋은 문제를 만드는 것인가?'라는 문제.

학생들은 친구들에게 문제를 낸다는 것 때문에 어려운 문제, 애매한 보기를 만들고 싶은 욕구가 커짐. 그런데 이것이 학습 요소와 관련없는 쟁점을 만들어 내기도 함.